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노후 건축물의 새출발! 서울시 BRP 지원사업의 구체적 사례가 궁금하다면?
    생활정보 2025. 8. 12. 20:45

    노후 건축물의 새출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지원 범위’의 모든 것

    서울시 BRP(Building Retrofit Project) 지원사업은 단순히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이 아닙니다.
    이 사업의 진짜 가치는 바로 에너지 성능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기술적 개입, 즉 ‘지원 범위’ 안에 담겨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무엇을 지원받을 수 있느냐”에 관심을 가지지만,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2025년 기준 BRP 사업의 핵심 지원 항목들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하나씩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BRP 리모델링 지원사업의 지원범위에 대한 내용과 구체적 사례
    서울시 리모델링 지원사업의 지원범위와 사례

     

    1. 고성능 단열재 시공

    “겨울엔 추위, 여름엔 더위... 이젠 안녕!”

    🏠 적용 사례: 종로구 H다세대 주택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H다세대 주택은 1980년대에 준공된 3층짜리 연립주택입니다.
    이 건물은 오래된 외벽 구조로 인해 겨울철에는 난방을 아무리 해도 실내가 따뜻해지지 않았고, 여름엔 벽이 그대로 열을 머금어 실내 온도가 급상승하는 문제를 겪고 있었습니다.

    BRP 지원사업을 통해 고성능 외단열 공법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외벽을 통해 빠져나가던 에너지 손실이 약 40% 감소했습니다.
    단열재는 R20 등급 이상의 고단열 폴리우레탄 소재가 사용되었으며, 외부에 방수마감재와 마감 패널을 함께 적용해 외관 개선 효과까지 함께 가져왔습니다.

    🔍 체감 효과

    • 난방비 연간 30% 이상 절감
    • 여름철 실내 온도 최대 5℃ 이상 하락
    • 결로 현상 90% 이상 감소
    • 건물 외관 리뉴얼 효과

     

    2. 고효율 창호 및 유리 교체

    “창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전기요금이 이렇게 줄어든다고요?”

    🏢 적용 사례: 마포구 Y오피스텔

    마포구에 위치한 Y오피스텔은 15년 이상 사용된 알루미늄 단창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여름철 냉방부하가 크고, 외부 소음 유입도 많아 거주자 불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던 상황이었습니다.

    2025 BRP 지원사업을 통해 로이복층유리 + PVC 이중창으로 전면 교체했고, 에너지 효율 1등급 창호로 바꾸면서 열손실 및 소음 모두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 체감 효과

    • 냉난방 에너지 소비 28% 절감
    • 실내소음 감소율 약 35%
    • 실내 온도 유지 시간 평균 1.5배 증가
    • 방음 덕분에 공실률 개선 효과도 있음

    창호 교체는 단기간 공사로도 가시적인 성능 향상과 만족도 상승을 이끌어낼 수 있어, 소형 건물에 매우 적합한 리모델링 항목입니다.

     

    3. 고효율 보일러 및 히트펌프 설치

    “노후 보일러 교체로 에너지 절감 + 온수 스트레스 해소”

    🏢 적용 사례: 관악구 T빌라

    관악구에 위치한 T빌라는 20년 이상 된 개별 가스보일러를 사용 중이었습니다.
    계속되는 고장과 불균일한 온수 공급 문제로 주민들의 불편이 컸으며, 에너지 소비는 많지만 효율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었습니다.

    BRP 사업을 통해 콘덴싱 보일러(1등급)와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을 도입하여, 개별 세대의 냉난방 효율을 대폭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히트펌프는 겨울철 난방 외에도 여름철 냉방에도 활용 가능양방향 효율 개선이 가능한 점이 특징입니다.

    🔍 체감 효과

    • 월 평균 난방비 약 22% 절감
    • 온수 대기시간 단축 (3분 → 30초)
    • 보일러 고장률 90% 감소
    • 설치 후 6개월 내 입주민 만족도 조사에서 92%가 ‘매우 만족’ 응답

     

    4. LED 조명 설치

    “조명 하나 바꿨을 뿐인데, 전기요금이 확 줄었습니다”

    🏬 적용 사례: 중랑구 S상가건물

    중랑구에 위치한 4층짜리 S상가는 내부와 외부 조명 모두 형광등과 메탈할라이드 조명을 사용 중이었습니다.
    24시간 운영되는 상가의 특성상 조명 사용량이 많았고, 전기요금 부담이 컸습니다.

    BRP 사업을 통해 전층 LED 조명으로 교체, 밝기는 유지하면서도 소비전력을 절반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센서 기반 자동 점멸 시스템을 연동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까지 줄이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도 함께 도입했습니다.

    🔍 체감 효과

    • 월 전기요금 약 40% 절감
    • 형광등 대비 교체 주기 5배 연장
    • 내부 조도 평균 1.3배 증가
    • 유지보수비 1년 기준 0원 → 60% 감소

    LED 조명 교체는 가장 단기적으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항목 중 하나로, 중소형 상업용 건물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5.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BEMS(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

    “에너지를 생산하고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자”

    🏫 적용 사례: 강동구 K교육시설

    강동구에 위치한 K교육시설은 평소에도 전력 소비가 많은 다중이용시설입니다.
    낮 시간대에 태양광 발전을 하고 있었지만, 잉여 전력을 활용하지 못해 실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낮은 상황이었습니다.

    BRP 지원사업을 통해 ESS(에너지 저장 장치)를 도입하고, BEMS 시스템까지 함께 구축하여,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는 스마트 건물 관리 체계를 도입했습니다.

    🔍 체감 효과

    • 태양광 잉여 전력 활용률 72% 향상
    • 피크타임 요금 부담 최대 38% 절감
    •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 에너지 효율 등급 개선 (3등급 → 1등급)

    이는 대규모 건물이나 공공시설, 기업형 빌딩에서 적용 시 매우 강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지원 범위’ 속 디테일이 서울의 미래를 바꾼다

     

    2025 서울시 BRP 지원사업의 ‘지원 범위’는 단순한 리모델링 예산 항목이 아닙니다.
    이 각각의 범위가 바로, 건물의 성능을 바꾸고, 서울의 에너지 사용 패턴을 바꾸며, 거주자와 사용자들의 삶의 질을 바꾸는 핵심 요소입니다.

    서울시는 점점 더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이런 실질적인 개선을 중심으로 한 BRP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요약하자면, BRP 지원사업의 ‘지원 범위’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고성능 단열재 시공
    • 고효율 창호 및 유리 교체
    • 고효율 보일러 및 히트펌프 설치
    • LED 조명 설치
    • ESS 및 BEMS 등 스마트 시스템 도입

    이 항목들은 각각의 건물 특성과 조건에 맞게 전문가 진단을 거쳐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며, 단순한 보조금 수령이 아닌 미래 건축을 위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